
더에듀 지성배 기자 | 교사들은 차기 대통령 1순위 자질로 ‘소통과 통합능력’, 1순위 정책은 ‘교권 보호’로 꼽았다. 특히 교육활동 중 학생들이 휴대전화로 몰래 녹음과 촬영할 것을 걱정했으며, 학생과 학부모의 교원 상해 및 폭행 시 처벌을 가중하는 것에 대다수가 찬성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1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44회 스승의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에는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이 참여했다.

‘소통과 통합 능력’, ‘교권 보호’...차기 대통령 1순위 자질과 교육 정책
우선 6.3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차기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 ‘소통과 통합능력’(50.3%)을 꼽았다.
차기 대통령이 우선 추진해야 할 교육 정책으로는 ‘교권 보호’를 선택했다. 또 ‘교원처우개선’과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 교육여건 개선을 원했다.
절반이 넘는 58.0%의 교원은 이미 지지하는 차기 대통령 후보를 정했다. 그러나 지지 의사 변경을 묻는 질문에 51.4%가 없다, 48.6%가 있다고 응답해 반반을 이뤘다.

학생 휴대전화 사용 제지로 갈등 34.1%
최근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던 교사가 폭행당하는 사건을 맞아 교육활동 중 학생의 휴대전화 알람, 벨소리 등으로 수업 끊김, 수업 방해를 겪은 적이 있냐는 질문에 66.5%가 그렇다고 답했다.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을 제지하다 저항과 언쟁·폭언을 경험한 교원은 34.1%나 됐다. 상해와 폭행까지 당한 교원은 345명으로 6.2%를 기록했다. 특히 교육활동 중 몰래 녹음과 촬영을 걱정하는 비율은 85.8%에 달했다.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활동 중인 교원을 상해 및 폭행할 경우 가중처벌하는 내용을 담은 교원지위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99.3%가 찬성했다.

10명 중 9명...“저연차 교사 이탈 현상 심각”
교사들의 90.0%는 최근 저연차 교사 이탈 현상이 심각하다(매우 심각 51.6%, 다소 심각 38.4%)고 응답했다. 이탈 원인으로는 교권침해가 40.9%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인식 저하(26.7%), 업무 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 등으로 응답했다.
이들은 저연차 교사 이탈 방지 대책으로 교권 보호 법제도 마련(37.3%)과 보수 및 수당 현실화(34.8%)가 필요하다고 봤다.
이밖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복수 시행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가 60.9%로 찬성 39.1%보다 높았다. 수능에 서논술형 문항 도입 역시 반대가 63.0%로 찬성 37.0%보다 많았다.
정년 연장에 대해서는 찬성이 57.6%, 반대가 42.4%를 기록했다. 찬성 이유로는 연금소득 공백 해소가 60.6%를 기록했고, 반대 이유로는 세대교체 지연으로 학교 분위기 침체 우려가 43.3%로 가장 높은 답변을 기록했다.
교총은 “교권 보호와 교육 여건 개선을 바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절실히 묻어난 설문 결과”라면서 “교원이 학생 교육에 전념하고,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 본연의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정부, 국회, 사회가 함께 지원·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