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전영진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국정기획위)가 기초·인문학 교육 강화와 민주시민교육 강화, 허위조작정보 대응 등이 담긴 국정과제를 발표한 가운데, 사서교사들이 크게 환영을 표하면서도 임용 정원 확대 등을 요구했다.
국정기획위는 13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AI 역량의 기반인 기초·인문학 교육 강화 ▲민주시민교육 강화 ▲K-컬처의 근간, 문화예술 창작역량·향유 기반 강화 ▲허위조작정보 대응 등을 담았다.
사서교사노조 입장문을 통해 “인문학, 민주주의, 콘텐츠를 강조하는 정책 방향에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하며 사서교사 정원 확대를 촉구했다.
사서교사노조는 “도서관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지적 자유를 수호하는 장소로서 민주주의의 기반이며, 콘텐츠가 창작 및 유통되는 지식 플랫폼으로서 기능한다”며 “사서교사는 학교도서관을 통해 이를 활성화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OECD가 PISA를 통해 강조하는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 역량과 UNESCO가 강조하는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를 교육한다”며 “미래 세대에게 지식의 탐색, 활용 방법과 가짜 뉴스, 거짓 정보를 분별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준다”고 성명했다.
그러나 사서교사 배치율이 낮은 상황을 문제로 꼬집었다.
이들은 “현재 학교 도서관에 정식 임용된 사서교사 배치율은 13.9%로 매우 낮아 주어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대한민국을 세계 문명 선도 문화 강국으로 만들기 위해 사서교사 임용 정원을 확대하고 양성과 배치 확대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교육부가 사전예고한 올해 사서교사 신규 임용 규모는 45명으로 지난해 55명보다 10명 줄었다. 사서교사 법정 정원은 1만 207명이지만 지난 2024년까지 1618명만 배치된 상태이다. 교육부는 제3차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계획(2019~2023)에 따르면 2030년까지 학교도서관 대비 약 50%까지 사서교사를 충원할 계획이지만, 임용 규모는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