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구름많음강릉 8.7℃
  • 흐림서울 4.7℃
  • 구름많음울릉도 10.4℃
  • 수원 5.5℃
  • 구름많음청주 5.9℃
  • 구름조금대전 6.4℃
  • 구름조금안동 5.9℃
  • 구름많음포항 9.2℃
  • 맑음군산 7.2℃
  • 구름많음대구 8.3℃
  • 구름조금전주 6.6℃
  • 구름많음울산 9.6℃
  • 구름많음창원 9.4℃
  • 구름조금광주 7.7℃
  • 맑음부산 9.6℃
  • 구름많음목포 8.6℃
  • 맑음고창 7.3℃
  • 황사제주 11.7℃
  • 구름조금강화 4.3℃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많음천안 5.8℃
  • 구름많음금산 6.0℃
  • 맑음김해시 8.7℃
  • 구름조금강진군 8.6℃
  • 구름많음해남 8.4℃
  • 맑음광양시 7.1℃
  • 구름많음경주시 8.8℃
  • 구름조금거제 9.0℃
기상청 제공

인천교사들 "현장체험학습 지원비 정책이 되레 운영 강요"...폐지 촉구

인천교사노조 27일 '현장체험학습 실태조사' 설문 결과 발표

 

더에듀 전영진 기자 | 인천교사 두 명 중 한 명은 현장체험학습 운영 과정에서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현장체험학습 지원비가 운영을 강요하는 요소로 작동한다며 다수가 폐지를 요구했다.

 

인천교사노조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현장체험학습 실태조사’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은 지난 20~23일 인천 지역 교사 78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69.6%가 올해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2회 이상이 39.4%, 1회가 30.2%였으며, 미실시 학교는 30.4%였다.

 

 

현장체험학습 운영 과정에서 교사 의견 반영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부정적 답변이 50.3%(전혀 그렇지 않다(32.3%), 그렇지 않다(18%))로 나왔다. 특히 중등에선 60%(중학교 68.6%, 고등학교 81.2%)를 넘었다.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중복 답변) 자율적인 의견을 낼 수 없는 분위기(43.3%), 학부모 민원 압력(42.3%), 관리자의 일방적 강요(39.6%), 학교운영위원회 결정(35.4%)으로 나왔다.

 

인천교사노조는 “현장 교사들이 실제 현장체험학습 운영 과정에서 배제되고 있다”며 “교육적 전문성과 판단보다는 외부 요구나 기존 관행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민원·행정·위계 구조에 의해 좌우되는 사업으로 운영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교사들의 85.7%는 ‘현장체험학습 지원비를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98%는 ‘지원비가 현장체험학습을 강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답했다. 인천교육청은 매년 유치원 8만원, 초6 25만원, 중2 25만원, 고2 45만원의 지원비를 지급하고 있다.

 

 

지원비를 반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63.8%가 예산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는 외부 압력이 있다고 답변했다. 자발적으로 모두 사용한다는 답변은 2.3%에 불과했다. 90.2%의 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 지원비를 교내 체험학습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찬성했다.

 

설문 결과를 종합하면, 현장체험학습의 결정 과정에 교사가 실질적 권한을 갖지 못하며, 학부모 민원과 관리자의 지시, 운영위원회의 결정, 예산 소집 안력 등 외부 요인이 계획 및 운영에 큰 힘을 발휘했다. 지원비 정책은 교육적 효과보다 행정적 실적 중심으로 작동해 현장 부담을 심화하는 기제로 작동했다.

 

김성경 인천교사노조 위원장은 “현장체험학습이 교사의 자율적 판단이 아닌 민원과 행정, 위계의 압력 속에서 강행되어선 안 된다”며 “교육청은 교사의 의견에 반하는 계획이나 운영이 강행되지 않도록 철저히 지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사 참여 기반 민주적 학교 의사결정 구조 확립 ▲지원비 제도 전면 재검토 ▲추진과정에 교사 자율성 보장 및 지원 등을 요구했다.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