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초등학교 평가제도가 목표를 이루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수업과 평가의 연계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다고 봤으며, 그 이유로는 생기부 기재가 목적이 되었기 때문으로 인식했다.
초등교사노동조합(초등노조)은 30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초등학교 평가제도 및 생활기록부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은 지난 17~25일 진행됐으며 총 2468명이 참여했다.

우선 응답한 교사들의 56.1%는 초등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 지원’이라고 꼽았다. 그러나 72.3%(매우 그렇지 않다 40.7%, 그렇지 않다 31.6%)는 현 평가제도가 적절하지 않다고 봤다.
또 64.7%는 ‘수업과 평가의 연계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다’고 봤으며, (복수응답) 85.4%는 ‘생활기록부 기재를 위한 형식적 평가로 전락해 교육적 의미가 약화했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뒤이어 51.7%는 ‘세부 지침과 입력 기준 과도로 교사 평가 자율성 제한’, 43.8%는 ‘학기별 평가 횟수와 항목 수 과도로 수업 운영에 지장 초래’를 꼽았다.

특히 수행평가 실시 이유에 대해 응답한 초등교사의 41.2%는 ‘학생부에 기재할 평가 근거 확보를 위해 필수적으로 운영해야 해서’를 선택했다. 반면 ‘정답만 평가하는 단순 지필평가로는 학생의 과정과 성장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28.7%에 그쳐 교육적 효과보다 행정을 위해 수행평가를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노조도 “수행평가가 본래의 교육 철학에 다라 실시된다기보다 시스템과 행정 구조에 맞춰 운영되고 있다는 인식이 강함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이 밖에 세부능력 및 특기사 기재 시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는 ‘학생 개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표현 작성 어려움’(76.9%)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 그래서인지 ‘동일한 성취 결과에 대해 동일한 기재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60.4%)가 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의 첫 번째 과제로 꼽혔다.
또 내실 있는 평가를 위해서는 ‘민원 대응 및 교사 보호’(892명)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정수경 초등노조 위원장은 “형식적 기록 중심 평가 제도가 교육의 본질인 학생의 성장 지원과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행정의 반복과 과도한 지침은 지양하고 성취 도달 여부를 중심으로 평가와 기록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사의 평가 자율성과 전문성을 존중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