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경기교육청이 내년에 ‘인공지능(AI)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전 학년 모든 교과로 확대 운영하고 하이러닝 기능 고도화로 학생 맞춤형 학습 실현을 꾀한다.
경기교육청은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 경기교육 기본계획’(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에는 8개 주요과제와 22개 세부과제, 69개 실천과제가 담겼으며, 골자는 ▲하이러닝 활용 맞춤형 교육 확산 ▲학교 내 갈등의 교육적 해결 지원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 확대 ▲경기교육 디지털플랫폼 본격 운영 등이다.
우선 ‘인공지능(AI)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전 학년 모든 교과로 확대 운영한다. 수행평가도 재구조화해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학습으로의 평가’를 강화한다. 향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듀 연계해 ‘미래 대학입시 개혁’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계획이다.
‘하이러닝’ 기능을 고도화한다. 이를 통해 ‘학생 맞춤형 학습’과 교사의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설계’를 적극 지원한다. 학교의 성공적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하이러닝’을 대한민국 미래형 교실의 표준 교수학습 모델로 정착해 나갈 방침이다.
도내 25개 교육지원청에서는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을 확대 운영한다. 학교 밖 교육이 지역사회와 연계된 새로운 학습생태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공유학교 운영 내실화에 나선다.
‘마음 공유 화해 중재단’ 운영으로 학교폭력, 학생 인권 침해, 교육활동 침해 등 학교 내 갈등의 교육적 해결에 주력했다. 특히 권리와 책임이 조화를 이루는 상호존중 학교 문화 조성에 앞장선다.
‘경기교육 디지털플랫폼’도 개통한다. 이를 통해 학생·학부모와 소통을 강화하고, 교직원 행정업무 부담 경감, 인공지능(AI) 맞춤형 챗봇 서비스 제공 등 경기교육행정의 디지털 시스템 본격 전환에 나선다.
특히 주요 정책마다 ‘학부모교육 강화’에 힘써 학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사교육비 부담을 줄여 공교육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다.
서혜정 경기교육청 정책기획관은 “교사가 교실수업과 생활교육에 집중하겠다”며 “학교·경기공유학교·경기온라인학교가 조화를 이뤄 모든 학생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