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강릉 7.1℃
  • 구름많음서울 3.1℃
  • 맑음울릉도 8.7℃
  • 흐림수원 2.0℃
  • 흐림청주 2.9℃
  • 흐림대전 3.1℃
  • 맑음안동 -2.0℃
  • 맑음포항 4.6℃
  • 흐림군산 4.5℃
  • 맑음대구 1.3℃
  • 구름많음전주 4.0℃
  • 맑음울산 4.7℃
  • 맑음창원 4.4℃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4.4℃
  • 구름조금목포 5.4℃
  • 흐림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10.7℃
  • 흐림강화 2.6℃
  • 흐림보은 -1.2℃
  • 흐림천안 0.1℃
  • 흐림금산 0.7℃
  • 맑음김해시 2.1℃
  • 맑음강진군 2.2℃
  • 맑음해남 0.2℃
  • 맑음광양시 3.3℃
  • 맑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캐나다 고교학점제 현장을 가다

전체기사 보기

[박봉석의 THE교육] 존중은 말이 아니라 태도로 가르쳐진다

더에듀 | “너 어른한테 왜 그렇게 말하니?”, “선생님께 인사 좀 똑바로 해라.” 우리는 아이에게 존중을 요구하면서 정작 그 존중을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는 제대로 가르치지 못할 때가 많다. 존중 교육의 출발점은 지시가 아니라 어른의 태도이다. 존중은 말로 전달되지 않는다. 시선과 말투, 아이의 이야기를 듣는 방식처럼 일상의 작은 행동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것이다. 겉치레로 꾸밀 수 없고, 권위로 강요할 수도 없다. 진심이 빠진 예의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아이들은 어른의 말과 행동이 불일치할 때 가장 먼저 그 모순을 간파한다. 아이의 실수를 가볍게 넘기거나 “왜 그랬어!”, “또 너야?”라는 말로 다그치는 순간, 아이는 자신이 존중받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크게 체감한다.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아이는 반항하거나 마음을 닫는다. 반대로 존중받는 아이는 생각하고, 이해하고, 스스로 변화를 받아들인다. 즉, 존중은 훈육의 전제다. 아이를 한 사람의 존재로 인정할 때 비로소 훈육은 효과를 가진다. 존중에는 순서가 없다. 나이가 많다고 먼저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지위가 높다고 요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먼저 존중을 베푸는 사람에게 진정한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