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AI 시대가 본격 도래했다. 2016년 알파고가 처음 등장했을 때 AI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술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후 AI는 빠르게 발전했고, 2023년 챗GPT 등장 이후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대거 쏟아지고 있다. 이렇게 AI가 우리의 일상과 산업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이제 AI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능력은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필수 과제가 됐다. 이런 흐름 속에서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은 지난해 10월 ‘IT 트렌드 2025’라는 책을 출간했다. 김 부사장은 이 책에서 AI를 비롯한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기술 트렌드가 개인의 삶과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한다. 김 부사장은 <더에듀>와의 인터뷰에서 “AI는 모든 기술의 총화”고 강조했다. 여타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혁신을 가속화 하고 있다는 뜻이다. 인터뷰에서는 AI가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 AI 반도체 산업의 발전 방향, 메타버스와 AI의 결합,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특히 그는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며 국가 차원에서
더에듀 지성배 기자 | AI 시대가 본격 도래했다. 2016년 알파고가 처음 등장했을 때 AI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술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후 AI는 빠르게 발전했고, 2023년 챗GPT 등장 이후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대거 쏟아지고 있다. 이렇게 AI가 우리의 일상과 산업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이제 AI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능력은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필수 과제가 됐다. 이런 흐름 속에서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은 지난해 10월 ‘IT 트렌드 2025’라는 책을 출간했다. 김 부사장은 이 책에서 AI를 비롯한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기술 트렌드가 개인의 삶과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한다. 김 부사장은 <더에듀>와의 인터뷰에서 “AI는 모든 기술의 총화”고 강조했다. 여타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혁신을 가속화 하고 있다는 뜻이다. 인터뷰에서는 AI가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 AI 반도체 산업의 발전 방향, 메타버스와 AI의 결합,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특히 그는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며 국가 차원에서
더에듀 지성배 기자 | “2025년, AI AGENT 시대가 본격 열릴 것이며, AI 기업들의 수익 창출이 본격 실현될 것이다.” ‘IT 트렌드 2025’ 저자인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이 지난 3일 도산아카데미(이사장 구자관, 원장 김철균)와 교육전문언론 <더에듀>가 공동 주최/주관한 스마트포럼에 강연자로 기술의 발전을 설명하며 이 같이 예상했다. 그는 지난 2016년 알파고와 바둑천재 이세돌의 대국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이 특히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발전기를 거쳐 지난 2023년 세상에 모습을 보인 ChatGPT가 인간의 삶에 AI의 진입이 본격화한 것으로 봤다. 특히 “ChatGPT 등장 이후 2년 간 기업들은 AI에 엄청난 투자를 해 왔다”며 “2025년에는 AI를 활용한 응용프로그램의 등장으로 수익 실현을 시작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스마트폰의 발전 과정과 닮아 있다. 아이폰이 세상에 나오며 스마트폰의 시대를 본격 알렸지만, 실제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 활성화를 이룰 앱들의 발전이 본격화한 2010년대를 맞아 모바일 시대로 접어든 것과 일맥 상통한다. 김 부사장은 이를 AI AGENT 시대라 부르며,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