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가상세계가 수업에 활용되면서 교실과 학교라는 공간의 벽을 자유롭게 넘나들고 있다. 교사들은 확장된 교육공간 속에서 아이들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것들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하면서 흥미도와 참여도가 향상했다고 말한다. 이에 <더에듀>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활동에 도전장을 내민 ‘XR메타버스교사협회’ 소속 교사들의 교육 활동 사례 소개를 통해 아이들과 수업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살피고자 한다. 학교 현장에서 뜨거운 교수학습 방법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일 것이다. 학생들의 삶과 연계된 주제를 선정하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담는 프로젝트 수업은 다양한 교과목이 연계된다. 그리고 문제 해결 과정의 결과로 도출되는 산출물은 이미지, 영상 등의 형태로 제작된다. ‘학생들이 도출해 낸 아이디어의 구동 방식을 어떻게 하면 실감 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까?’ ‘Delightex’로 가능해진 아이디어 시뮬레이션: '쓰레기 수거 로봇'의 구동 장면을 그려내다 필자는 로봇 공학 및 STEM 기반의 세계 최대 규모의 글로벌 로봇 대회인 Fir
더에듀 | 가상세계가 수업에 활용되면서 교실과 학교라는 공간의 벽을 자유롭게 넘나들고 있다. 교사들은 확장된 교육공간 속에서 아이들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것들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하면서 흥미도와 참여도가 향상했다고 말한다. 이에 <더에듀>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활동에 도전장을 내민 ‘XR메타버스교사협회’ 소속 교사들의 교육 활동 사례 소개를 통해 아이들과 수업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살피고자 한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교육 현장에서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특히 가상현실(VR) 기술은 더 이상 SF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닌,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혁신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매김했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고 몰입하며 살아있는 언어를 습득하는 영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VR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Google 어스와 함께하는 세계 여행: ‘길 찾기’ 표현의 실생활 적용 필자가 사용하는 6학년 영어 교과서에서는 길 찾기 표현의 읽기 지문으로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이나 개선문과 같은 명소가 소개된다. 학생들을 가르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