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김광수 제주교육감이 리얼미터가 발표한 전국 교육감 직무수행 평가에서 4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올해 단 한 차례만 빼고 선두를 수성하는 역사를 써내려 가면서 내년도 차기 교육감 선거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이 나온다. 리얼미터는 매월 ‘전국 시도교육감 직무수행 평가 일반지수’ 결과를 발표한다. 사실상 교육감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방식의 유일한 평가이자, 해당 지역 시·도민을 대상으로 한 의견 수렴이다 보니 각 교육감들과 교육관계자 등의 관심이 높은 자료이다. 가장 최근 결과는 리얼미터가 지난 16일 발표한 9월 평가로 김광수 제주교육감이 1위를 기록, 4개월 연속 1위 자리를 수성했다. 김광수 제주교육감, 39회 평가 중 1등만 27번...세부 수치는? <더에듀>가 리얼미터 발표 자료를 살펴본 결과, 김광수 교육감은 올해 총 9번의 조사에서 무려 8회나 1위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1~4월, 6~9월 각 4개월씩 연속 1위에 올랐다. 1위를 한 번 놓친 5월도 2위이다. 이 기간 가장 높은 긍정평가는 62.7%(3월)이며, 가장 낮은 긍정평가도 52.4%(5월)로 과반 이상의 지지를 받았다. 올해 평균은 57.51%이다. 가
더에듀 김우영 수습기자 | 제주교육청이 2022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주 4·3이 기술되도록 추진한다. 30일 제주교육청은 2022개정 교육과정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주 4·3이 기술되도록 주요 출판사를 방문해 적극 요청했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이 전달한 집필 시안 자료는 ‘제주 4·3사건 진상보고서’를 토대로 통일 정부 수립에 대한 주장, 제주 4·3의 핵심적 전개 과정 서술 및 국가 차원의 사과, 제주 4·3관련 유직과 가치 등에 대한 내용이 구성됐다. 제주는 “제주 4·3이 현대사에 차지 하는 위상과 과거사를 해결하는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주 4·3 사건의 전승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출판사 관계자들은 “개정 교육과정에 제주 4·3이 학습요소로 들어간 것을 알고 있다”며 “초등 사회 교과서 집필자들에게 시안 전달 및 심도 깊은 협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김광주 제주교육감은 “교과서에 객관적인 제주 4·3 역사가 기술될 때 올바른 역사적 사실과 가치를 배울 수 있다”며 “이번 초등 주요 출판사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2026년부터 적용되는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에 제주 4·3이 기술되길 기대한다”고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제주교육청이 정무부교육감직이 신설된다. 특별자치시도 최초 사례로 강원·전북·세종 등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의회는 19일 제430회 임시회 2차 본회의를 열고 제2부교육감인 ‘정무부교육감’ 직제 신설을 주 내용으로 하는 제주교육청의 조직개편안을 통과시켰다. 도의원 45명 중 41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29명이 찬성, 10명 반대, 2명 기권이다. 본회의에 앞서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는 지난 18일 제430회 임시회 회의에서 '제주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와 '제주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개정안을 수정·가결했다. 19일 열린 2차 본회의에서 해당 조례안은 교육청이 제출한 원안에 담긴 대외협력담당관이 삭제되고, 정무부교육감 청문회 절차가 추가됐다. 이날 통과된 조직개편안은 오는 9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같은 특별자치(시)도교육청의 지위를 갖고 있는 강원과 전북, 세종교육청에서 제주의 통과 사례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특히 강원의 경우 내부적으로 정무부교육감 신설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제주의 사례가 큰 힘이 될 전망이다. 한편, 현재 서울과 경기만이 두 명의 부교육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