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고등교육연구소는 매년 고등교육 이슈별 쟁점 분석을 통해 대학 사회에 당면한 과제 해결을 모색하고,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기 위해 ‘고등교육 현안분석 자료집’을 발간해 왔다. 지난 19일 공개된 ‘2024 고등교육 현안분석 자료집’에는 ▲전공자율선택제 ▲일본의 유학생 유치정책 ▲챗GPT 사용 미국 대학 사례 ▲대학혁신사업 등 4개 주제가 담겼다. <더에듀>는 이를 자세히 살펴 우리나라 고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더에듀 정은수 객원기자 | 미국의 유명 대학들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해 규제보다는 적극적인 활용에 중점을 두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지난 19일 내놓은 ‘챗GPT 사용에 대한 미국 대학의 사례 분석’(오예진 정책연구팀 선임연구원)에는 이 같은 내용이 실렸다. 보고서는 미국에서 생성형 AI 활용에 앞장서고 있는 스탠퍼드대와 애리조나주립대의 사례를 소개했다. 스탠퍼드대: 활용 입문 강좌, AI 공방 등 운영 스탠퍼드대는 ‘챗GPT 시작하기(Getting Started with ChatGPT)’라는 이름의 3시
더에듀 정은수 객원기자 | 아일랜드의 인공지능(AI) 자문위원회가 AI의 규제보다는 활용에 중점을 둔 수시 개정 가능한 지침을 수립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일랜드 AI 자문위는 지난달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아일랜드 AI 자문위원회 권고사항 - 아일랜드의 AI 미래 구상을 위한 조언(Ireland’s AI Advisory Council Recommendations – Helping to Shape Ireland’s AI Future)’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여섯 가지 영역에 걸쳐 AI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제언을 종합적으로 담았는데, 그중 하나인 ‘AI와 교육’ 보고서에서 생성형 AI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생성형 AI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사용되고 있고, 현재 교육 현장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자문위는 “생성형 AI는 교육을 개선할 막대한 잠재력이 있다”면서 “AI가 교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시스템과 협업을 통해 교사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한 예시로는 △수업계획 작성 보조 △복잡한 주제에 대한 맞춤형 설명 제공을 통한 개별화 교육 △학생의 학습 활동에 대한 상세하고 즉시적인 피드백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