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 2025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다. 올해 CES는 “사실상 AI 전시회”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AI 기술이 모든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자동차, 헬스케어, 로보틱스,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혁신이 두드러졌으며, 중국 등 해외 스타트업도 강한 존재감을 보였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더에듀>는 직접 CES 2025 현장을 방문한 강성주 세종대 초빙교수를 만나 이번 전시회의 특징과 한국 AI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들어봤다. ▲ 간단히 소개한다면. 현재 세종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AI(인공지능)에 관심이 많아 기술경영(MOT)과 디지털 분야에 중점을 두고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자과 석·박사 과정 세미나 강의를 맡고 있으며, AI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CES란?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 최대의 전자·IT 전시회입니다. 196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매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됩니다. 이 전시회는 단순한 가전제품 박람
더에듀 남윤희 기자 | “2025CES 키워드는 AI였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AI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세계적으로 스타트업들의 활발한 참여를 볼 수 있었다. 또 이전에는 자율주행차 등에 한정됐던 시장이 헬스케어, 농업, 미용 등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성주 세종대 교수가 지난 7일 서울 중구 인크루트에서 열린 도산아카데미 스마트포럼에서 ‘CES를 통해 본 新 AI 디지털 국가전략’을 소개하며 2025CES를 직접 방문한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국제전자제품박람회)는 세계 최대 전자·IT 박람회로, 매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올해 CES의 가장 두드러진 모습은 인공지능(AI)가 모든 산업의 중심이 됐다는 점이다. 강 교수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AI와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결합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며 대표적으로 플랫폼 ‘코스모스’를 소개했다. 코스모스는 엔비디아의 플랫폼으로 그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같은 고도화된 모빌리티 기기들이 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