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지성배 기자 | 남녀공학 전환 이슈로 학생들의 큰 반발에 부딪혔던 동덕여자대학교(동덕여대)가 학생들도 참여하는 위원회를 만들어 해당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동덕여대와 총학생회 등의 이야기를 종합하면, 동덕여대 처장단과 총학생회는 지난 19일 5차 면담을 갖고 내년 3월부터 6개월간 ‘공학전환공론화위원회’(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총학생회의 남녀공학 전환 관련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요청을 학교가 수용한 것이다. 학교 측은 위원회에 교수, 동문, 학생, 직원이 참여하며 관련한 모든 내용을 학생들에게 공개하기로 했다. 다만, 참여 주체별 비율 등 세부 사항은 내년에 새로 들어설 총학생회와 논의할 예정이다. 위원회 추진에 합의한 총학생회는 입장문을 통해 “학생 의견을 대학 본부에 온전히 전할 수 있는 공식적인 자리”라고 합의 배경을 밝혔다. 서울의 한 사립대학 관계자는 “위원회를 통한 학생 의견 반영이라는 방식은 학교 운영 및 경영을 구성원들과 논의하겠다는 학교 측의 의지가 돋보이는 것”이라면서도 “결국 참여 집단의 위원 비율 문제가 표면으로 나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 참여 집단을 품으려는 정치력 또한 중요 요소가 될 것”이라고
더에듀 지성배 기자 | 동덕여대가 남녀공학 전환 논의 중단을 선언했지만, 학교 측이 밝힌 래커칠 등으로 인한 피해액 54억원에 대한 책임 공방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 추가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학교 측은 학내 청소 비용과 래커칠 제거 등 피해 복구에 54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설명회 주관 업체가 청구한 피해액은 3억 3000여만원에 달한다. 이에 지난 21일 대학 측은 지난 21일 총학생회와 면담을 진행, 법적 대응이 불가피함을 안내했다. 그러나 총학생회 측은 자신들에게 배상 책임이 없어 피해 주장 비용을 낼 생각이 없다는 입장이다. 총학생회 측은 학생회 주도 하에 진행되지 않았고 불특정 다수 학우가 분노로 자발적으로 행동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측은 총학생회 측이 학생의 대표라며 시위 역시 총학생회가 선동한 것이라 보고 있다. 입장 차이만 확인한 이들은 오는 25일 피해 복구 책임 등과 관련한 추가 면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학생총회 참석자가 나눠서 부담하자는 의견과 대표자들이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