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일을 더 잘하기 위해서 잘 쉬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세계에서 근면성실을 가장 큰 삶의 미덕으로 여겼던 우리 민족은 쉼이나 휴식, 놀이 문화, 게으름 등을 경시하거나 죄악시할 때도 있었다.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 일하는 것 못지않게 여가 시간을 어떻게 잘 보내며 개인 삶을 누리느냐가 중요한 삶의 이유가 되어가고 있다. 우리 부모 세대는 평균수명이 60세도 안 되었다. 평생 일만 하다 돌아가시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지금 대한민국 평균 수명은 80세를 넘었다. 곧 90세, 100세가 되는 날을 보게 될 것이다. 다른 말로 직장 다니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직장 없이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궤도 수정이 필요한 이유이다. 선생님을 ‘꼰대’라고 비꼬기도 한다. 나 또한 꼰대임을 부인할 수 없다. 왜 학생들이, 사람들이 교사를 꼰대라고 할까? 선생님들의 말과 행동이 옳지 못해서가 아니라 변화를 선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직도 학기 중 수업을 잘하기 위해 방학 동안 쉼과 충전을 잘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이들이 있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꼭 맞는 말도 아니다. 학기 중 수업과 방학 증 개인 삶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더 극단
더에듀 | 2024년 끝머리, 그동안 겪어보지 못한 국가적 위기와 가슴 아픈 사고로 겪은 슬픔 속에서 2025년을 맞이하게 돼 매우 혼란스럽고 걱정이다. 개인적으로는 교직 34년 만에 처음으로 겪게 된 학생, 학부모와의 오해와 갈등으로 비난 받을 교사가 될 위기에 놓였다. 말로만 듣던 서희초 교사의 사건이 남 이야기가 아님을 실감할 수 있었다. 물론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는 여전히 담임교사를 신뢰하고 가르침과 수고에 고마운 마음으로 감사하고 응원해 주신다. 그러나 모든 학생과 학부모가 담임 교사의 교육관을 따르고 교육 방법에 만족해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어느 교사도 다 만족을 줄 수는 없다. 문제는 교사가 본인과 극단적으로 다른 가치관과 태도를 가진 학생과 학부모를 만나면 그동안 잘 수행하던 교직관과 교육방법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인도 무너질 수 있다. 2024학년도 종업식날에도 많은 제자에게 감사 편지를 받았다. 즐겁고 행복한 학교생활과 수업 속에서 1년을 보내게 되어 정말 감사하다는 편지를 많이 받았다. 내년에도 또 담임선생님이 되어 달라는 아이들도 많았다. 우리 자녀가 1년 동안 바르고 건강하게 잘 성장했다고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