띵동! 작은학교입니다 [띵동! 작은학교입니다] '우당탕탕' 과학 수업 준비
더에듀 | 6~21세 학령인구가 2015년 892만명에서 2024년 714만명으로 크게 줄면서 작은학교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서울 등 대도시 역시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은 작은학교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더에듀>는 ‘띵동! 작은학교입니다’의 저자 장홍영 교사(경북교육청 소속 6학급 학교 근무)를 통해 작은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장 교사는 “경험은 적지만 신규의 마음은 신규가 가장 잘 알기에 혼자 힘들어하고 계실 신규 선생님을 응원하며 글을 썼다”며 “선생님들을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어떤 선생님들께 누가 되지 않으면서, 어떤 선생님들껜 감히 조그마한 위로가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과학 준비물 준비 미치겠다.’ 언젠가 나의 일기장에 적었던 문구다. 교대 재학생 때, 나는 큰 학교에서만 교생 실습을 했다. 그곳에선 과학 준비물을 과학 실무사님께서 준비해 주셨기에, 졸업 후에도 편하게 수업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6학급 작은 학교로 발령받은 뒤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 작은 학교에는 과학 실무사가 없었다. 그래서 실험을 위한 과학 준비물을 챙기는 일은 온전히 교사의
- 장홍영 '띵동! 작은학교입니다' 저자/ 경북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 2025-01-06 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