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한국교육개발원은 2024년 12월, 제19차로 수행된 2024 교육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여론조사는 교육 및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변화 정도를 파악해 향후 정부 및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 수립과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9개의 조사 영역은 유지됐는데, 교육정책, 학교, 교사, 학생,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교육재정 및 교육복지, 대학교육, 교육현안 및 미래교육, 교육관 등이다. 교육정책 관련 첫 번째 질문은 현재의 유‧초‧중등 교육정책 중 향후 5년간 지속적으로 강조돼야 할 정책이었다. 1순위와 2순위를 합산한 결과 인성교육 활성화(30.6%), 기초학력보장 체제 구축(27.0%),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을 통해 원하는 교육 제공(26.1%), 늘봄학교의 확대 및 질제고(23.5%)순이었다. 학부모를 대상으로는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을 통해 원하는 교육 제공(29.3%), 기초학력보장 체제 구축(28.7%), 인성교육 활성화(27.9%), 늘봄학교의 확대 및 질제고(23.2%)로 순위가 바뀌었다. 이를 통해 학부모를 포함한 국민들은 공교육을 통해 평등성과 수월성이 대치하지 않고, 고루 조성되
더에듀 | 한국교육개발원은 2024년 12월, 제19차로 수행된 2024 교육여론조사를 발표했다. 교육여론조사는 교육 및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변화 정도를 파악해 정부 및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 수립과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표집 크기가 4천명(만 75세 미만 전국 성인남녀)으로 ▲교육정책 ▲학교 ▲교사 ▲학생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교육재정 및 교육복지 ▲대학교육 ▲교육현안 및 미래교육 ▲교육관 등 9개 영역으로 되어 있다. 모든 영역과 문항을 살필 순 없기에 주요 내용을 유‧초‧중등교육 중심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2024년 우리나라 국민은 초‧중‧고 학교 전반에 대해 5점 만점에 평균 2.85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전년보다 0.23점 증가한 수치이나 여전히 못하고 있다(29.9%)가 잘하고 있다(19.3%)보다 높다. 특히 고등학교에 대해선 못하고 있다(36.6%)는 평가가 잘하고 있다(17.8%)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자녀가 다닐 학교를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을 때 초등학교와 중학교급에선 인성교육(26.6, 21.8%)을, 고등학교급에선 진로교육(25.8%)을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