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정지혜 기자 | 미국, 유럽, 아시아의 교육 정책은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을까. <더에듀>에서는 교육정책네트워크에서 발표하는 국가별 교육 동향을 바탕으로 매월 미국·캐나다·영국·독일·프랑스·핀란드·덴마크·싱가포르·일본·중국 등 10개국에서 12월에 나온 소식 중 선별해 전한다. |
챗GPT 출시 이후, 영국 교육계는 AI 사용과 부정행위 적발을 둘러싼 혼란에 직면해 있다.
영국 고등교육정책연구소(Higher Education Policy Institute) 조사에 따르면 50% 이상의 학생이 과제에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약 5%는 부정행위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인정했다.
영국의 연구 중심 대학인 러셀 그룹(Russell Group) 대학에서는 부정행위 사례가 15배 증가했다고 보고되기도 했다.
이에 대학은 ‘Turnitin’과 같은 AI 감지 도구를 도입했다.
하지만 비영어권 학생의 경우 61% 가량 오탐지되는 반면, 영어권 학생은 5%에 그쳐 형평성 문제가 제기됐다.
AI 감지 정확도와 타당성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되고 있다. 감지 회피 기술을 사용하면 쉽게 피해갈 수 있는 경우도 있으며 부정행위를 하지 않았는데도 의심을 받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영문학과 학생 알버트는 단순히 ‘덧붙여(in addition to)’나 ‘그에 반해서(in contrast)’ 같은 일반적인 문구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AI 사용 의심을 받아 청문회에 회부되어 정신적 고통을 겪었다.
예술을 전공하는 엠마는 싱글맘으로서 육아와 생계 문제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챗GPT를 사용했다가 적발되어 0점 처리되기도 했다.
또 다른 학생은 단순히 목록 형식으로 글을 작성했다는 이유로 부정행위 청문회에 회부되어 정신 건강에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레딩 대학 연구진의 실험에 따르면, 챗GPT가 작성한 답안의 94%가 탐지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대학은 새로운 AI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은 ‘새로운 개념 학습’, ‘학습 코치’, ‘시간 관리 지원’ 등 AI의 제한적 사용을 허용하는 ‘AI-positive’ 정책을 도입했다.
전문가는 일대일 교육(one-to-one tuition)이나 구두시험(viva voce) 등 평가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으나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실현이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