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지성배 기자 | 교육청들이 가정형편과 성적수준을 묻는 문항이 담긴 설문 조사를 보류했다. <더에듀> 단독 보도 후 다음 날 내린 즉각적인 결정이다.
앞서 지난 4일 <더에듀>는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정형편과 성적수준이 포함된 설문 조사가 되고 있음을 단독 보도했다. 확인된 곳은 세종·울산·인천·광주교육청이다.(관련기사 참조 : https://www.te.co.kr/news/article.html?no=26885)
교육부는 이미 지난 2013년과 2016년 두 차례에 이 같은 내용이 설문을 지양하라는 권고를 내린 상태로, 학생인권침해와 불필요한 선입견 조장 등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더에듀> 단독 보도 후, 지난 5일 광주교육청은 해당 공문에 담긴 조사 보류를 안내했다고 밝혔다.
광주교육청 관계자는 <더에듀>에 “(해당 문항에) 문제의식을 갖고 조사 기관에 전화를 해 입장을 전달했다”며 “(공문이 나간) 15개 학교에 조사를 보류해 달라는 공문을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울산교육청 역시 지난 5일 공문을 통해 “설문조사 문항에 대한 조정이 필요해 조사가 보류된 상태”라며 “해당학교는 참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교육청 담당자들은 공통적으로 협조 요청 공문에 담긴 설문 문항을 확인하지 않은 채 일선학교에 그대로 시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보류 결정 이후의 조치를 설명하며 이에 대한 반성은 없었다.
조치 사항에 대해 연락을 주기로 한 세종과 인천교육청은 아직 회신이 없다.
이 문제를 최초 제기한 보건교사노조는 교육청 결정을 높이 사면서 앞으로의 조사는 좀 더 체계적으로 설계되길 바랐다.
윤정빈 보건교사노조 보도편집국장은 “교육청이 외부 연계 사업에 무비판적으로 협조를 독려한 것은 문제가 있다”며 “이번 설문도 사전에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점은 아쉬우나 철회된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조사는 추후 학생 교육 방향 결정 정책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며 “설계와 진행은 더욱 신중해야 한다. 교육청과 연구자 모두에게 책임 있는 검증 과정을 거칠 것을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설문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이들에게 유아기(만 3~5세 전후)에 참여한 흡연 위해 예방교육이 현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유아기에 받은 교육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