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과 관세 전쟁 이후, 미국과 중국의 대립은 AI 주도권 싸움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최근 오픈AI의 샘 올트먼이 방한하고,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삼성과 회동하는 등 AI 분야에서 한·미·일 협력이 강화하고 있습니다. AI 패권 경쟁에서 중국을 견제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글로벌 경쟁 속에서 대한민국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AI 교육을 통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모습입니다. 과거 대한민국은 초고속 인터넷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도입해 인터넷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 우리는 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세계 최초로 AI를 접목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더욱 심도 있는 AI 교육과 활용 그리고 인재 양성을 통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해야 합니다.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국가의 경제, 안보 그리고 미래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AI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급한 이유입니다. 과거 초고속 인터넷 도입으로 IT 강국이 되었듯이, 이제는 AI 교육 혁신을 통해 AI
더에듀 |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가 떠올랐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사람들은 올해 기대와 희망보다 불안과 우려를 안고 새해 첫 일출을 본 것 같습니다.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의 한복판을 지나게 될 2025년, 대립과 혼란이 사회적 갈등으로 활활 타오를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런 상황이 대한민국의 근본인 교육의 근간마저 흔드는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닐지 걱정이 앞섭니다. 현재 우리나라 정치권의 모습은 사회적 가치로 강조되는 합의, 소통, 배려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지역 간 갈등을 조장하고, 특정 이념 강요로 사회적 통합을 저해해 학생들에게 편협한 사고방식을 배양하기도 합니다. 학생들이 협력과 배려보다는 경쟁과 대립만을 습득할까 우려됩니다. 헌법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고 있지만, 정치와 교육을 떼려야 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교육은 정치권의 소용돌이에 딸려 들어가면 안 됩니다. 사회의 기초를 세우는 중요한 도구로, 정치적 혼란과 대립에서 자유롭게 해야 합니다. 2025년, 교육 성역(聖域)을 다시 한번 선포하면 어떨까요. 대한민국의 학생들을 위해서 말입니다. 교육이 정치권의 혼란과 대립을 넘어 제역할을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