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강릉 5.8℃
  • 맑음서울 3.3℃
  • 구름조금울릉도 8.1℃
  • 맑음수원 3.8℃
  • 맑음청주 4.1℃
  • 맑음대전 5.6℃
  • 맑음안동 1.4℃
  • 맑음포항 6.5℃
  • 구름많음군산 5.9℃
  • 맑음대구 5.8℃
  • 구름조금전주 7.1℃
  • 맑음울산 6.0℃
  • 맑음창원 7.5℃
  • 흐림광주 5.7℃
  • 맑음부산 7.5℃
  • 흐림목포 6.1℃
  • 흐림고창 4.9℃
  • 구름많음제주 12.0℃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3.0℃
  • 맑음천안 2.9℃
  • 맑음금산 5.4℃
  • 맑음김해시 6.6℃
  • 흐림강진군 6.3℃
  • 흐림해남 7.2℃
  • 구름많음광양시 8.3℃
  • 맑음경주시 6.5℃
  • 맑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칼럼

전체기사 보기

[생각 더하기-이공훈] 김성천 신임 교육부 정책보좌관에게 드리는 충언

더에듀 |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가 최교진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으로 취임하면서 역할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우리교육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 온 입장에서 김 신임 정책보좌관의 업무에 도움이 되고자 몇가지 소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어린 아이들을 입시위주교육에서 벗어나게 해주십시오. 아이들의 일상이 딱하기 그지없습니다. 학부모들이 목소리를 낮추게 해야 합니다. 유은혜 전 교육부장관이 2022년도에 학부모들이 주장한 정시 중심 입시제도 확대 주장에 굴복한 게 못내 아쉽습니다. 그 결과 점수 위주 교육의 강도가 더 세졌습니다. 교사들의 권위를 세워주었으면 합니다. 이것도 입시위주교육이 있는 한 불가능해 보입니다. 결국 아이들에게 입시위주교육을 하지 않게 하고 교사의 권위를 세우는 길은 아마도 대학 진학 방식에 있어 시험 선발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무시험 선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만이 우리나라 교육의 오래된 숙제를 푸는 길이라 사료됩니다. 그게 가능한 방식을 진실로 찾기를 바랍니다. 이를 위해 도움이 되는 몇 가지를 첨언합니다. 대학 입학 방식은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중간에 있고 두 그룹을 연결합니다. 따라서 문제를 풀려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