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강릉 9.1℃
  • 흐림서울 6.1℃
  • 천둥번개울릉도 8.1℃
  • 흐림수원 6.1℃
  • 구름많음청주 7.1℃
  • 흐림대전 7.0℃
  • 맑음안동 4.8℃
  • 맑음포항 7.9℃
  • 흐림군산 8.1℃
  • 구름조금대구 7.4℃
  • 흐림전주 7.5℃
  • 맑음울산 7.3℃
  • 맑음창원 8.6℃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목포 8.8℃
  • 흐림고창 7.8℃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천안 6.7℃
  • 흐림금산 6.9℃
  • 구름조금김해시 8.6℃
  • 구름많음강진군 8.7℃
  • 흐림해남 8.8℃
  • 구름많음광양시 7.1℃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칼럼

전체기사 보기

[촬영감독 이야기] 농어촌유학 학교에서 교육의 본질을 보았다

더에듀 | <더에듀>는 전국 곳곳의 교육 현장을 영상으로 담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장덕우 콘텐츠 실장이 있다. ‘현장감독 이야기’는 장 실장이 교육 현장을 촬영하며 본 것과 느낀 것을 영상이 아닌 글로 대중과 만나는 공간이다. 말은 제주로, 사람은 한양으로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들어온 이 문장은 한국 사회에서 한양(도시)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우리는 마치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도시로 가야만 하는 것처럼 도시를 동경하고 갈망하며, 도시에 입성하지 못하면 좌절하기도 한다. 교육 분야는 그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더 좋은 학교, 더 좋은 직장, 더 좋은 미래를 꿈꾸며 ‘인 서울’을 목표로 시간과 돈과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나의 빛나는 미래를 위해 지방으로 가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처음 ‘농어촌유학’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선뜻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았다. ‘도시에 살던 아이가 농어촌으로 유학을 간다? 왜? 아이가 도시 학교에 적응을 못 했나? 부모님이 사업에 실패했나?’ 등 부정적인 생각이 먼저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강원도 양양과 홍천에는 ‘도시’의 풍부한 자원을 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