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5.7℃
  • 구름많음울릉도 10.3℃
  • 구름많음수원 5.7℃
  • 흐림청주 5.8℃
  • 구름조금대전 2.0℃
  • 맑음안동 -0.5℃
  • 맑음포항 6.6℃
  • 맑음군산 0.9℃
  • 맑음대구 1.7℃
  • 맑음전주 2.1℃
  • 맑음울산 5.6℃
  • 맑음창원 5.0℃
  • 맑음광주 2.4℃
  • 맑음부산 7.8℃
  • 맑음목포 4.2℃
  • 맑음고창 0.1℃
  • 구름많음제주 10.6℃
  • 구름많음강화 2.7℃
  • 흐림보은 1.1℃
  • 흐림천안 2.7℃
  • 맑음금산 -1.5℃
  • 맑음김해시 4.4℃
  • 맑음강진군 0.3℃
  • 맑음해남 -0.8℃
  • 맑음광양시 3.3℃
  • 맑음경주시 0.3℃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칼럼

전체기사 보기

[전재학의 THE교육] 왜 우리는 이오덕 선생을 사표(師表)로 기억하는가?

더에듀 | 올해는 이오덕(1925~2003) 선생이 가신 지 23년이 되고, 그의 탄생 한 세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필자를 비롯한 이 나라 교육계의 후학들은 한 시대의 사표로 살다 가신 선생을 기리는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 기억하고자 한다. 그는 분명 한국 교육사에서 대표적인 ‘삶과 글, 교육을 하나로 엮어낸 실천적 교육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교사·아동문학가·교육운동가로 활동하며 평생 ‘아이들이 자기 목소리로 말하고 자기 삶을 살아가는 교육’을 강조했다. 이 시대에 추진하는 이른바 생활 글쓰기, 삶을 가꾸는 교육, 참교육의 철학은 모두 그의 손에서 탄생하거나 깊이 확장된 개념들이다. 2025년, 그의 탄생 100주년을 우리가 기리는 이유는, 그의 교육 방식이 여전히 의미 있고 오히려 현재의 학교가 더욱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삶에서 시작하는 교육 — ‘생활 글쓰기’의 혁명 이오덕 선생은 한국 교육 현장에서 대부분의 글쓰기 지도가 모범답안을 따라 쓰게 하는 ‘정답 글쓰기’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 그래서 아이들이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솔직하게 적는 ‘생활 글쓰기’를 교육의 중심에 놓았다. 필자 또한 한때 글쓰기의 과정을 익히면서 기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