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전영진 기자 | 최근 수행평가가 본래의 취지를 잃고 있어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성취기준 기반 절대평가 체계 확립’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과 자율성 실질적 보장 지원 체계’가 대안으로 제시됐다.
또 사교육계 인물을 만나 수행평가 대책을 논의한 임태희 경기교육감의 사과도 촉구됐다.
지난달 20일 국민동의 청원 사이트에 ‘수행평가 제도 전면 재검토’ 청원이 올라왔다. 강성태 공신닷컴 대표가 게재한 것으로 확인된 이 청원은 ▲과도한 평가 부담과 학생 건강 위협 ▲평가 기준의 불투명성 및 주관성 문제 ▲교육 불평등 심화와 사교육 의존 ▲비현실적인 과제 수준과 창의성 저하 ▲교사들의 업무 부담 과중 등의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교육부는 과제형과 암기형을 지양한다는 지침을 다시 한번 현장에 안내하며 진화에 나섰으나, 일부 정치권 등에서는 폐지까지 언급되고 있다.(관련기사 참조 : https://www.te.co.kr/news/article.html?no=26491)
그러나 문제는 수행평가 자체가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교디연)은 15일 성명서를 통해 그(수행평가) 철학을 지탱한 제도적 기반과 학교 구조를 문제의 본질로 제기하고 “수업과 평가가 교육답게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의 재설계”를 요구했다.
이들은 우선 성취기준 기반 절대평가 체계의 고등학교 확립을 촉구했다. 교디연은 “평가는 점수가 아닌 학생의 성취와 변화를 중심에 두고 운영되어야 한다”며 상대평가 폐지와 지식암기 중심 서열화 구조에서 벗어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제안했다.
학교 내 교과협의회와 학업성적관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교사 간 논의 체계 정비와 함께 수행평가가 수업과 긴밀히 연동되도록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실질적 강화도 제시했다.
또 ▲성적관리시행지침 안내 시점을 새 학기 시작 후가 아닌 시작 전으로 이동 ▲교수·학습·평가 계획 점검 방식의 교육적 피드백 중심 모니터링 체계 전환도 요구했다.
교육청에는 수행평가 시기, 방식, 횟수 등의 통제에서 벗어나 교사의 평가 전문성과 자율성을 신뢰하고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적 전환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체계적인 교사 연수 확대와 함께 성취기준 기반 과제 예시와 평가 운영 매뉴얼의 현장 수요에 맟춘 개발 및 보급을 주문했다.

특히 강성태 공신닷컴 대표를 만나 수행평가 개선을 약속한 임태희 경기교육감에 대해서는 즉각 사과를 요구했다.
임 교육감은 최근 수행평가 폐지 청원을 낸 강성태 대표를 만난 후 수행평가 전면 재구조화, 지필평가 전후 수행평가 지양, 수행평가 횟수와 과제영역 조율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교디연은 “사교육 관계자들은 수능 중심의 정량적 평가 구조를 선호하며, 이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이나 수행평가를 끊임없이 비판하고 평가 절하한다”며 “그 기저에는 공교육과 교사에 대한 구조적 불신이 자리 잡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면담은 오히려 수행평가 축소 여론에 편승해 사교육의 입지를 넓히고 공교육을 약화할 여지를 제공한 무책임한 결정”이라며 “‘수행평가 횟수를 줄이자’라는 발언은 곧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를 축소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이는 교사의 평가권을 침해하고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겠다는 것으로 읽힌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감은 이번 사안에 대해 분명히 책임을 인정하고, 즉각적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향후 모든 교육정책의 결정 과정에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 전문가의 의견을 사전에 충분히 수렴하고, 그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