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0.7℃
  • 구름조금울릉도 14.7℃
  • 맑음수원 11.6℃
  • 구름조금청주 10.6℃
  • 구름조금대전 11.2℃
  • 맑음안동 7.9℃
  • 구름조금포항 13.6℃
  • 맑음군산 11.8℃
  • 맑음대구 11.4℃
  • 맑음전주 13.1℃
  • 맑음울산 15.3℃
  • 맑음창원 13.4℃
  • 구름많음광주 11.7℃
  • 맑음부산 18.8℃
  • 구름조금목포 13.2℃
  • 구름많음고창 11.2℃
  • 흐림제주 17.1℃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9.1℃
  • 구름많음천안 9.3℃
  • 맑음금산 9.3℃
  • 맑음김해시 13.6℃
  • 구름조금강진군 14.4℃
  • 구름많음해남 12.2℃
  • 구름조금광양시 16.3℃
  • 맑음경주시 11.5℃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사람

전체기사 보기

[박봉석의 THE교육] 아이의 품격은 '경계'에서 자란다

자유와 무질서의 혼란 속에서, 경계는 아이의 품격이 된다

더에듀 | 자유로운 교육이 이상처럼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스스로 선택하게 하고, 자율적으로 생각하게 하며, 억압하지 않고 통제하지 않는 것. 그것이 ‘진보된 교육’의 이름으로 칭송받았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경계 없는 자유는 과연 진짜 자유일까? 요즘 아이들은 ‘자기 안의 욕구와 감정, 충동을 다스리는 법’보다 그것을 ‘표출하는 법’을 먼저 배운다. 기분이 나쁘면 소리를 지르고, 싫으면 자리를 박차고, 불편하면 말을 끊는다. 그리고 누군가 그 행동을 지적하면 이렇게 말한다. “내 감정이에요.” “표현의 자유잖아요.” “나답게 사는 거예요.” 하지만 아이가 배워야 할 건 ‘자기표현’보다 ‘자기조절’이다. 그 조절은 ‘경계’를 인식하는 능력에서 시작된다. 경계는 단순히 “하지 말라”는 금지선이 아니다. 여기까지가 나‘이’고, 저기부터 ‘타인’이라는 것을 깨닫는 순간, 비로소 존중이 시작된다. 경계가 사라지면 타인의 경계도 무시하게 된다. 결국 ‘내 마음대로 사는 삶’은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삶’이 되고, 그런 아이는 사회 속에서 갈등을 만들며, 관계를 맺지 못하고, 외로움 속에 스스로를 가둔다. 경계를 가르치는 일, 그것이 훈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