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정지혜 기자 | 신규교사의 학교 적응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신규교원 역량 강화 모델 개발 시범운영 방안’이 발표된 가운데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반응이 엇갈렸다.
이 방안은 임용시험 합격 후 발령 대기 중인 예비교사 중 지원자 200명을 6개월간 정원 외 기간제교사로 임용, 멘토교사 등과 매칭해 수업, 업무 등 실무를 익히고 역량을 기른다는 내용이 골자다. 즉, 예비교사를 수습교사로 활용하겠다는 것.
교총은 “교직 적격 여부 판정 목적이 아니라 신분과 처우를 보장하고 정원 외 배치로 방향을 잡은 것은 바람직하다”며 “신규교사의 학교 적응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제도로 설계·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멘토교사에 대한 업무 경감 방안을 실질적으로 제시하고 지원해야 한다”며 “현재 교무부장 등 일부 보직을 담당하는 경우, 10시간의 수업시수 지원을 위한 기간제교사를 배치하는 것과 같이 실질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이미 학교 현장에는 초임, 저경력 교사 등의 학교 적응과 수업, 상담, 생활지도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핵심 멘토로서 수석교사가 배치돼 있다”며 “향후 모든 신규교사를 대상으로 지원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수석교사를 정원 외로 확대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전교조는 “기간제교사는 기본적으로 임금, 성과급 차별이나 교직원공제회 가입 배제 등 열악한 처우를 받고 있다”며 “수습교사를 기간제교사 형태로 배치하는 것에서부터 이미 차별이 발생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학교 업무의 총량은 그대로인 상황에서 경력교사나 수석교사가 멘토로 투입된다면, 해당 교사들의 업무는 더욱 과중해지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습 과정을 통해 더 배워야 할 역량이 있다면 교생 실습 등의 제도를 강화하면 될 것”이라며 “정원 외 기간제교사를 배치하는 것보다 정교사 발령으로 교원 정원을 확보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