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초등학교 AI교과서 채택 비율이 중고등학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 당국은 학교에서 AI교과서를 더욱 활용하도록 이번주 중 각 시도교육청과 학교에 2학기 추가 신청 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19일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학년도 1학기 기준 초등학교 3학년에서 AI교과서를 채택한 학교는 수학 1813곳, 영어 1843곳이다. 이는 전체 학교 6339곳의 각각 28.6%, 29.1%에 달한다.
초등학교 4학년의 경우 수학은 1854곳(채택률 29.2%), 영어는 1879곳(29.6%)이 AI교과서를 채택했다.
중학교 1학년은 총 3285개 학교 중 수학 857곳, 영어 885곳에서 AI교과서를 채택했다. 채택률은 각 26.1%와 26.9%였다.
고교 1학년은 2380개 학교 가운데 수학의 경우 567곳(23.8%), 영어는 581곳(24.4%)이 AI교과서를 쓰기로 했다.
수학 채택률은 초4(29.2%), 초3(28.6%), 중1(26.1%), 고1(23.8%) 순이었다. 영어도 초4(29.6%)가 가장 높고 초3(29.1%), 중1(26.9%), 고1(24.4%)이 뒤를 이었다.
교육부는 올해 초3·4, 중1, 고1의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AI 교과서를 도입했다. 전면 도입할 예정이었지만 야당의 반대로 올해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게 했다.
현재 초교 및 고교 수학과 고교 영어 과목은 학기 단위, 초·중학교 영어와 중학교 수학은 학년 단위로 구성돼 있다.
이에 따라 AI 교과서 신청도 학기 단위 과목의 경우 1·2학기를 구분해서, 학년 단위 과목은 학기 구분 없이 받았다.
지난 13일 기준 2학기 도입 의사를 사전에 밝힌 학교의 비율은 초교 3학년 수학 7.9%, 초교 4학년 수학 8.0%, 고교 1학년 수학 14.6% 및 영어 14.9%다.
교육부는 올해 AI 교과서가 전면 도입에서 자율 도입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관련 절차가 지연되면서 학교에서 미처 신청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고 보고 2학기 전 추가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학기 단위 과목은 물론 학년 단위 과목도 절반가량의 비용으로 신청이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 13일 기준 1종 이상의 AI 교과서를 선정한 학교는 전국 1만 1932개 초·중·고교의 32.4%에 해당하는 3870곳이었다.
채택률은 대구가 98.1%로 가장 높고 세종이 9.5%로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