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정지혜 기자 | 올해 교사들은 스트레스 1순위로 학생의 위반행위와 학부모의 항의·소란을 꼽았다. 20년 전에는 해당 응답률이 가장 낮았던 것과 대비된다.
교직의 장점으로는 20년 전에는 ‘전문성’이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안정성’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출연연구기관인 한국교육정책연구소는 올해 ‘교직문화에 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며 지난 6월 18~30일 전국 초·중·고 교원 6050명을 대상으로 교직문화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소는 20년 전인 2004년 같은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2004년과 2024년 연구 결과를 비교하면 교원의 교직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교사의 스트레스 원인’에 관한 문항에서 ‘학생 위반행위 및 학부모의 항의‧소란’(39.8%)이 압도적인 1순위 응답률을 보였다.
2004년 조사에서는 ‘업무 과부하’(29.7%)가 1순위, ‘학생 위반행위 및 학부모의 항의‧소란’(11.6%)이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교직의 장점’에 대해서는 ‘직업의 안정성’(42.2%)과 ‘방학을 비롯한 시간적 여유’(21.3%)가 교직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혔다.
2004년 조사에서는 교원들이 ‘직업의 전문성’(41.4%)과 ‘사회적 인정과 존경’(22.3%)을 주요하게 꼽았다. ‘직업의 안정성’(9.3%)이나 ‘방학을 비롯한 시간적 여유’(9.8%)는 응답률이 10%도 안 되는 하위권 요인이었다.
‘교직활동 수행의 장애요인’에 대해서도 ‘학생‧학부모의 비협조적 태도’(50.1%)가 1순위로 꼽혔다. ‘과중한 잡무와 자율성 침해’(2.6%)는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2004년 조사에서는 ‘과중한 잡무와 자율성 침해’(57.0%)를 가장 많이 응답하고, ‘학생‧학부모의 비협조적 태도’는 10.3%로 하위권 답변이었다.
‘교사로서 무력감을 느끼는 순간’의 경우 ‘학생‧학부모의 비협조적 태도와 불신’(64.0%)이 1순위로 꼽혔다. ‘교육이 비난 대상이 되거나 교직 가치가 격하될 때’(10.1%)는 응답률이 미미했다.
2004년에는 ‘교육이 비난 대상이 되거나 교직 가치가 격하될 때’(52.1%)라는 응답이 가장 많고, ‘학생‧학부모의 비협조적 태도와 불신’은 18.4%에 그쳤다.
‘2011년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후 교직 사회의 변화 및 영향’에 대해서는 78.6%가 ‘교육활동 전반에서 학생 인권과 권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됐다’고 답했다.
‘학생과 교사가 상호 존중하기보다는 대립하는 구도가 형성됐다’는 응답도 79.7%로 확인됐다.
‘학생 휴식권 보장 등으로 학력신장에 역점을 둔 교육활동이 어려워졌다’는 응답은 79.0%로 나타났다.
‘교권이 추락하고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이 심화됐다’는 응답은 91.3%에 달했다.
서울 서이초 교사 순직 사건 이후 교직 사회의 변화와 영향에 대해서도 ‘교원 간 상호 협력 및 공감대가 강화됐다’(57.3%), ‘학생, 학부모의 학교‧교원 존중문화가 확산됐다’(28.9%), ‘교육활동 보호 관련 법‧제도적 보완이 이뤄졌다’(36.4%)는 긍정 응답보다 ‘교직 내부의 상실감과 무력감이 증대됐다’(71.5%)는 부정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총은 “교직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이 20년 사이 극명하게 뒤바뀌었다”며 “그 변화의 근저에는 교직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 세태와 교원을 존중하지 않는 무분별한 교권 침해가 관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