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전영진 기자 | 광주교육청이 새학년 시작과 동시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들어갔다. 올해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이 평가 대상에 포함되면서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9개 학년에서 시행된다.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는 지난 2022년 도입됐으며, 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을 위해 학교와 학급에서 자율적으로 치르는 시험이다. 태블릿과 컴퓨터 등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학업성취도 등 인지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역량 등 비인지적 특성을 진단해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한다.
지난해에는 관내 중학교 100%(92개교), 초등학교 99%(153개교)가 참여했다. 올해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이 평가 대상에 포함돼 초3부터 고2까지 9개 학년에서 4월 16일까지 시행한다.
초3과 중1은 책임학년으로 지정, 이번 평가를 바탕으로 맞춤학습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학년 초 진단평가 부담 완화와 평가 이후 학습 향상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기초학력 진단과 통합해 진행한다.
장한성 계수초 교사는 “학생들의 수준별 특성이 세세하고 정확하게 진단돼 수업 설계와 개별 지도에 큰 도움이 됐다”며 “올해도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교육활동이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과 맞춤형 지도를 위한 평가활동이 지속해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