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정지혜 기자 | 올해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공교육 범위 내에서 학교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풀 수 있는 적정 난이도를 갖춘 문항이 출제될 전망이다.
수능 문제와 EBS 연계율은 예년처럼 50% 수준을 유지하고, EBS 교재에 있는 그림과 도표, 지문 등의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연계 체감도’를 높인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수능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나뉘어 시행된다. 모든 수험생은 한국사 영역에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국어·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국어영역 문항은 45개로 수험생들은 공통과목인 독서, 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수학영역 문항은 30개로 공통과목인 수학 Ⅰ·Ⅱ외에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한다.
영어 영역은 총 45문항으로 구성되며, 듣기평가는 17문항으로 25분 이내 실시한다.
한국사의 경우 필수로 지정돼 모든 수험생은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기본 소양을 평가하고,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20문항이 출제된다. 미응시자는 시험 전체가 ‘무효 처리’돼 성적통지표를 제공하지 않는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직업탐구 영역에서 2개 과목에 응시할 경우, 전문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필수로 선택하고,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중 1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해야 한다. 1개 과목에 응시할 경우, 계열별 선택과목 5개 중 1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하면 된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성적통지표에는 수험생이 응시한 영역·선택과목별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기재된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시된다.
평가원은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하고 공교육의 범위 내에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출제할 것”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