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에듀 김승호 객원기자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NEIS) 등 교육 관련 시스템 역시 접속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유실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은 27일 오전 서울정부청사 브리핑을 통해 “26일 오후 8시 15분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의 지하 이전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한 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화재 이유를 밝혔다.
배터리 화재는 10시간이 넘은 오늘(27일) 오전 6시 30분께 진압됐으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업무 시스템 647개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다.
김 장관은 “화재 영향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가열이 우려되었다”며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나이스 역시 영향을 받고 있다. 나이스 홈페이지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일부 로그인 서비스(간편인증 등)가 제한되고 있다”며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로그인 인증 과정에서 행안부 인증 시스템과 연계 검증되는 단계가 있어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있다”며 “나이스 서버는 물리적으로 시도교육청과 나이스 총괄 센터에서 별도 관리하고 있어 데이터 유실 등의 문제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현재 장관 직속 비상상황반이 가동했으며, 교육부 자체 인증서 검증으로 전환 등의 테스트를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한 상황이다.
나이스를 관리하는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도 자신의 SNS를 통해 “나이스와 K-에듀파인의 EPKI 접속에 장애가 발생했다”며 “화재와 관련해 교육관련 서비스와 데이터에 직접적인 문제가 없음을 확인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GPKI가 복구될 때까지 연동을 차단해 접속 오류를 복구하겠다”며 “최선을 다해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