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7.3℃
  • 맑음울릉도 11.5℃
  • 맑음수원 5.7℃
  • 맑음청주 7.0℃
  • 맑음대전 5.0℃
  • 맑음안동 3.6℃
  • 맑음포항 10.2℃
  • 맑음군산 4.1℃
  • 맑음대구 8.2℃
  • 맑음전주 5.4℃
  • 맑음울산 8.8℃
  • 맑음창원 8.0℃
  • 맑음광주 7.1℃
  • 맑음부산 10.4℃
  • 맑음목포 8.0℃
  • 맑음고창 2.5℃
  • 구름조금제주 10.6℃
  • 맑음강화 4.9℃
  • 맑음보은 1.3℃
  • 맑음천안 1.4℃
  • 맑음금산 1.0℃
  • 맑음김해시 8.3℃
  • 맑음강진군 3.9℃
  • 맑음해남 2.9℃
  • 맑음광양시 8.0℃
  • 맑음경주시 5.1℃
  • 맑음거제 6.8℃
기상청 제공
배너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①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의미와 측정 방법

더에듀 정지혜 기자 |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 협회가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23 결과’를 발표했다. 이 평가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5년 마다 실시하며, 지난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프랑스, 독일 등 34개국에서 참여했다. <더에듀>에서는 ①‘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의미와 측정 방법 ②우리나라 결과와 시사점에 대해 나눠 소개한다.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23은 지난해 10~11월 152개교에서 중2 학생 3723명과 중학교 교사 2054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컴퓨터‧정보 소양 영역에서는 웹사이트에 제시된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근거 제시하는 능력을, 컴퓨팅 사고력 영역에서는 코딩의 원리를 활용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능력 등을 평가한다.

 

평가는 실제 컴퓨터 사용 환경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검사 프로그램에서 순서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는 형태로 구성됐다.

 

컴퓨터·정보 소양(CIL)은 어떻게 측정하나

컴퓨터·정보 소양은 개인이 컴퓨터를 사용해 조사하고, 생성하며, 소통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지난해에는 서로 다른 주제의 7개 모듈 ‘보드게임 동아리, 호흡, 컴퓨터 사용과 건강, 인터넷 안전, 종이책 vs. 전자책, 쓰레기 줄이기, 현장학습’이 제시됐다.

 

 

호흡 문항의 경우 학생들에게 호흡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을 만들어야 한다는 맥락에서 과제를 수행하게 했다.

 

파일 관리 능력, 정보의 수집 및 평가 능력 등을 확인하기 위한 6개의 일반 과제와 1개의 종합 과제로 구성됐다.

 

일반 과제는 폴더 내 파일들의 확장자명, 파일 유형을 확인해 발표 자료 파일을 찾아 열 수 있는지, 웹 사이트에 제시된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그 근거를 서술하는 문항 등으로 구성됐다.

 

종합 과제는 웹 사이트의 정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호흡의 과정을 가르치기 위한 발표 자료를 만들도록 했다.

 

종합 과제 수행에 앞서 학생들은 과제의 개관과 평가 기준을 살펴보고, 자료를 만들 때 사용해야 하는 소프트웨어의 활용 방법의 시연 영상을 시청한 이후, 본격적으로 종합 과제를 수행했다.

 

종합 과제는 선정한 이미지의 관련성, 레이아웃 서식의 지정, 내용의 정확성 등의 평가 준거에 의하여 채점됐다.

 

컴퓨팅 사고력(CT)은 어떻게 측정하나

 

컴퓨팅 사고력(CT)은 개인이 실생활 문제에서 컴퓨터로 처리 가능한 부분을 인식하고, 이 문제들에 대한 알고리즘적 해결책을 개발하고 평가해 그 해결책이 컴퓨터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을 측정한다.

 

지난해에는 서로 다른 주제의 4개 모듈 ‘활동 기록계, 자율주행 버스, 드론으로 농사짓기, 해와 달’로 구성됐다.

 

농사짓기 모듈의 경우 학생들은 농사짓기에 활용할 드론이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해야 한다는 맥락에서 과제를 수행했다.

 

코드의 생성과 테스트, 알고리즘의 수정 능력 등을 확인하기 위한 9개의 일반 과제로 구성됐다.

 

학생들은 블록 기반 코드 편집기를 사용해 과제를 수행했으며, 학생들의 응답은 프로그래밍의 효과성과 정확성을 기반으로 평가됐다.

배너
배너
좋아요 싫어요
좋아요
0명
0%
싫어요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