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에듀 | 타인의 모습이 자꾸 눈에 들어와 나의 삶에 투영되고 내 삶의 만족은 상대적으로 다가와 ‘나는 뭐지’라는 슬픔에 빠져든다. 소셜미디어 사진을 보고야 그때의 추억이 아련히 떠오르지만 돈은 최소한 기억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계좌 속 숫자로 현실을 알려준다. 교육공무원으로 월급이 안 나올 것이라는 걱정은 한 번도 해본 적 없지만 소득공제 할 때 카드값 총액이 연봉보다 많음에 놀란다. 내가 놓지 않는 한 교직은 내 천직이다. 아직까지는 말이다. 어떤 이유가 되었든 누구 못지 않게 잘살아 보자. 그래서 시작한다. ‘교사 재테크’이다. |
재테크의 시작은 지출을 줄이는 데에서부터이다. 지출을 줄여라. 습관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나의 삶에서 새로운 패턴이 되어야 한다. 다이어트 식단하 듯 불필요한 지출은 줄여야 한다. 식단이 힘들 듯 지출 다이어트도 당연히 힘들다.
저축액이 아니라 저축률이 중요하다. 저축률을 높여야 한다. 부담스럽게 최대한 높여라. 싱글일 때가 인생 최고 저축률을 찍을 때다. 이때를 놓치지 마라. 누릴 것 누리고 하고 싶은 것 다 하면 못한다. 희생과 과감한 포기가 필요하다. 다들 임용고시를 위해 무엇을 포기하지 않았나?
요즘 교직을 둘러보면 임용고시 합격이 잭팟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누구든 경제적 안정감이 없다면 그 직(職)에 전념할 수 없다. 교사는 전문직이기도 하지만, 월급쟁이기도 하다. 그래서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교사의 삶이 더 이상 경제적 안정감으로 담아주는 세상은 이제 지났다. 변화하는 세상에서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는 관찰력과 실행력이 뛰어난 사람부터 시작된다. 무엇이든 먼저 움직이는 사람이 좋은 포지션을 선점한다. 그래서 먼저 움직이자. 그래야 조급해지지 않는다. 그렇게 준비하면 반은 성공했다.
‘지금 나의 삶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받으면?
“.......”
딱히 떠오르지 않는다고 좌절할 필요 없다. 이제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는다.
흙수저 중에 흙수저라면 제목처럼 '닥치는 대로 줄이는 것'부터가 시작이다. 그동안 못했던 것에 대한 보상 심리로 누리기보다 돈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수영장에 물을 채우려면 물이 나가는 길을 막아야 금방 채워지듯 나가는 길을 줄이고 통제해야 내 통장도 가득 채워진다.
가득 채우는 다른 방법이 있다. 채워지는 날을 늘리고 나가는 날을 줄이면 된다. 즉, 나가는 물보다 채워지는 물이 많아지면 된다.
월급쟁이 교사는 한 달 30일 중 채워지는 날이 17일 단 하루다. 반대로 나가는 날은 30일 매일이다. 부수입이 없어 채우는 날을 늘리기 어렵다면 나가는 날을 줄이면 된다. 이것이 바로 지출 줄이기다.
뭐~ 다 아는 이야기지만 내 삶에 변화가 없다. 그럼 아는 것이 아니다. 저기 옆 반은 애들이 좋아서, 저 학교는 예산이 많아서 멋진 교육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남 이야기처럼 쳐다보면 발전이 없다. 환경 탓이 아닌 내가 바뀌어야 삶이 바뀐다. 변화의 핵심은 내 삶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매일 똑같은 일을 반복하며 나아지기를 원하는 것은 지극히 심한 욕심일 뿐이다. 공짜 점심은 없지 않은가?
재테크의 시작은 지출을 줄이고 통제하는 것부터 행함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단순 지출을 줄이고 월 수입을 늘리기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바쁜 일상에도 내가 지금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삶을 되돌아 보자. 과연 그 일이 나에게 얼마나 유익하게 다가올지 생각하면 지금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보고 있어야 하는지 본인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재테크도 결국 자기관리 영역이다.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하면 재테크도 남의 이야기일 뿐이다. 아래는 ‘N6 진짜 절약법’이다.
◆ N6 진짜 절약법 - Nice (좋은) : 좋은 절약법 실천하기 - Note (메모) : 지출 내용을 기록하기 - Next (다음) : 다음에 사기, 구입을 한 번 더 미루기 - Need (필요) :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보기 - Near (인접) : 직장 인접한 곳 살기 교통비, 시간 절약, 삶의 질 증가 - Nudge (넛지) : 꼭 필요한 것인지 팔꿈치로 스스로를 쿡 찔러보기 |
앞으로 지출 절약법을 실천하면서 돈 쓰는 쇼핑이 아니라 돈 버는 쇼핑을 해보자. 어떤 집을 살까? 어떤 주식을 살까? 얼마의 금을 살까? 이것이 바로 돈 버는 쇼핑이다. 돈 버는 쇼핑을 다르게 말하면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왜 우리는 돈 쓰는 쇼핑을 하면서 돈 없다고 투덜대며 살까? 적은 돈이라도 잘 모아 돈 버는 쇼핑을 하다 보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자산을 볼 수 있다. 하루아침 대박은 절대 없다. 지출은 돈 되는 곳에 하는 것이다.